박가방
스토리지 본문
스토리지(Storage) :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
스토리지 종류 : DAS, NAS, SAN
1. DAS(Direct Access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 일반 가정의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이 해당
①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하고
②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간단.
③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으며 파일을 공유할 수 없음.
④ 확장성 및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⑤ 저장 데이터가 적고 공유가 필요 없는 환경에 적합
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
① 별도의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NAS Storage가 내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관리
② Ethernet 스위치를 통해 다른 서버에서도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어 파일 공유 가능
③ Ethernet 스위치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장장치에 쉽게 접근 가능
④ DAS에 비해 확장성 및 유연성이 높다.
⑤ 접속 수 증가 시 성능 저하 가능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NAS Storage가 네트워크 상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버들이 자유롭게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3. SAN(Storage Area Network)
- DAS의 전용케이블을 통한 빠른 처리와 NAS의 별도 네트워크로 인한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
-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
① 광 채널(Fiber Channel) 스위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성
② 광 채널 스위치는 서버나 저장장치를 광케이블에 연결하므로 처리속도 빠름
③ 저장장치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개의 저장장치나 백업장비를 단일화 가능
④ 확장성, 유용성, 가용성이 뛰어남
⑤ 높은 트랜잭션 처리에 효과적이나 기존 시스템의 경우 장비업그레이드가 필요하고,
초기 설치 시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하므로 비용이 많이 듬
서버와 스토리지가 광 채널 스위치로 연결된 별도의 전용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서버들이 저장장치 및 파일들을 자유롭게 공유 가능
'IT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모델의 개념 (0) | 2023.02.14 |
---|---|
데이터 베이스 설계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