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8)
박가방

1.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Request, Response 관계로 이루어진다. Request :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Response : Request에 따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프로토콜이란, 작성 후 하이퍼 링크 https:// - Protocol • news - Sub Domain 도메인 및 DNS에 대해 작성 후 하이퍼링크 • naver.com - Domain • 80 - port 포트에 대해 작성 후 하이퍼링크 • /main/ - path • read.nhn - page • ?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09847211 - query • #da_727145 - fragment URL : Uni..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해당 언어로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레임워크가 있다. 1. 프레임워크(Framework) : - '뼈대','골조'의미도 갖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요소와 아키텍처를 일반화하여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해주는 반제품 형태의 소프트웨어 -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는 웹 프레임 워크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기능 구현을 위한 기본적인 형태를 지원할 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하지만 사용 여부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크다. 1.1 프레임워크의 주요 기능 : 예외 처리, 트랜잭션 처리, 메모리 공유, 데이터 소스 관리, 서비스 관리 ,쿼리 서비스, 로깅 서비스, 사용자 서비스 등 1.2 프레임워크의 종류 : 스프링..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의 종류: 1. 생성 패턴 추상팩토리: 구체적인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관, 의존하는 객체들이 그룹으로 생성하여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패턴 빌더 : 작게 분리된 인스턴스를 건축하듯 조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패턴 팩토리 메소드 : 객체 생성을 서브 클래스에서 처리하도록 분리하여 캡슐화한 패턴, 상위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만 정의하고 실제 생성은 서브 클래스가 담당. 프로토 타입 : 원본 객체를 복제하는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패턴 싱글톤 :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면 생성된 객체를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지만, 여러프로세스가 동시에 참조할 수 없는 패턴 2. 구조 패턴 어댑터 : 호환성이 없는 클래스들의 인터페이스를 다른 클래스가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패턴 브..
네트워크 관련 장비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정보 전송 시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함. 2.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퍼터의 역할도 포함. 3. 리피터(Repeater) : 전송되는 신호가 전송 선로의 특성 및 외부 충격 등의 요인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4. 브리지(Bridge)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 컴퓨터그룹(세그먼트)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 5..
OSI 7 계층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을 정의하며, RS-232C, X.21 등의 표준이 있다.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두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 -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을 함. - 오류의 검출과 회복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을 함. - 프레임의 순서적 전송을 위한 순서 제어 기능을 함. - HDLC, LAPB, LLC, LAPD, PPP 등의 표준이 ..

스토리지(Storage) :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 스토리지 종류 : DAS, NAS, SAN 1. DAS(Direct Access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 일반 가정의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이 해당 ①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하고 ②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간단. ③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으며 파일을 공유할 수 없음. ④ 확장성 및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⑤ 저장 데이터가 적고 공유가 필요 없는 환경에 적합 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