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가방

OSI 7계층 본문

IT/도메인 지식

OSI 7계층

박가방 2023. 2. 20. 19:07

OSI 7 계층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을 정의하며, RS-232C, X.21 등의 표준이 있다.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두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

-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을 함.

- 오류의 검출과 회복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을 함.

- 프레임의 순서적 전송을 위한 순서 제어 기능을 함.

- HDLC, LAPB, LLC, LAPD, PPP 등의 표준이 있다.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계층)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을 함.

-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는 기능

- 경로 설정(Routing), 데이터 교환 및 중계,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을 수행

- 관련 표준으로는 X.25 IP 등이 있다.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종단시스템(End to End)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 OSI 7 계층 중 하위 3계층과 상위 3 계층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담당.

- 종단 시스템 간의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을 함

- 주소 설정, 다중화, 오류제어, 흐름 제어를 수행.

- TCP, UDP 등의 표준이 있다.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송 수신 측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

- 대화(회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을 함.

- 연결의 생성, 관리, 종료를 위해 토큰을 사용.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으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함.

-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

-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포맷) 변환, 문맥관리 기능을 함.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 응용 프로세서 간의 정보 교환, 전자 사서함,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

 

[1] 시나공 2023 - 길벗알앤디

'IT > 도메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0) 2023.02.27
프레임 워크  (0) 2023.02.23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종류  (0) 2023.02.22
네트워크 관련 장비  (0)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