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가방
[KTAIVLE] 미니 프로젝트 6-7차 진행 본문
1. 개요
미니프로젝트 6차와 7차는 IT인프라 & 클라우드 & 제안에 관련된 강의를 배우고, 직접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를 분석하여 고객사에 발표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는 크게 3가지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고객사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제안서를 작성하여, 미래 고객사를 설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자사는 어떤 솔루션과 성과를 가지고 있고, 경쟁사는 어떤 솔루션과 성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안사인 자사는 DX 솔루션을 기획하고, 인프라를 설계하여, 제안 전략을 수립하고, 최종적으로 고객사를 설득하기 위한 제안서를 작성한다.
2. 장소
- 프로젝트 장소로는 분당 정자동에 위치한 KT 본사로 선정하였다. 분당 교육장의 특징으로는 넓고, 쾌적하여 강의를 듣거나, 발표를 할 때 매우 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 본인의 경우 혼자라도 매번 강의장에 나가는 것을 선호하는데, 목적성도 부여되고 딴짓도 적어지고 집중도 더 잘되기 때문이다. 특히 조별 토론이 필수적인데, 집에서 zoom으로 토론하는게 쉽지가 않다. 힘들어도 반드시 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출/퇴근 시간이 겹치다보니 약간 힘들 수 있는데, 인근 스터디 카페 가격이 저렴하여 오전 05시에 출근하고, 오후 10시에 퇴근하니, 당일 내용에 대한 사전학습도 정리 및 피드백도 편하였다.
3. 진행 순서
구분 | 시간 | 내용 |
1 | 9:40 ~ 10:30 | 제안 프로젝트 소개 및 수행방법 안내 |
2 | 10:40 ~ 11:30 | 개인별 프로젝트 수행 |
3 | 11:40 ~ 12:30 | 개인별 프로젝스 수행과 중간 점검 및 리뷰 |
4 | 12:30 ~ 13:30 | 점심시간 |
5 | 13:30 ~ 14:20 | 조별 프로젝트 수행 |
6 | 14:30 ~ 15:20 | 조별 프로젝트 수행 |
7 | 15:30 ~ 16:20 | 조별 프로젝트 수행 및 산출물 정리 |
8 | 16:30 ~ 17:10 | 미션 리뷰 및 금일 과정 리뷰 |
4. 과정
6차 미니 프로젝트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내용들은 모자이크 처리.]
4.1 RFP를 기반으로 고객사의 사업공고와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 제안사의 솔루션을 검토하여 ->서비스 구성도를 완성한다.
4.2 제안사의 시스템을 3Tier/클라우드로 구성해보고 고객사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비스 배치도를 완성시킨다.
지금까지 실제 제안서를 석사과정과 회사생활을 경험하면서 작성해보았지만, 기술과 경쟁우위에 대한 내용만 작성해보았을 뿐, 실제 기획하고, 인프라를 구성하고 시스템을 구성해본적은 없기 때문에 과제가 주어졌을 때 정말 막막하였다.
그러나, 잘 구성된 교본과 강사님의 피드백을 토대로 나같은 사람도 서비스 구성도와 배치도를 해볼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7차 미니프로젝트인 "제안 PT를 작성하고 발표하기"를 진행한다.
좋은 조원분들을 만나 6차프로젝트에서 좋은 결과를 거두었기 때문에, 7차 진행은 수월하였다.
4.3 제안사의 핵심 제안 전략을 도출하기
강사님께서, 고객을 설득하기 위한 PPT를 어떻게 작성하는지 정말 세세하게 설명해주신다.
RFP를 기반으로 제안사와 예상 경쟁사에 대한 비교우위를 정리하는데, 실제 자사도 아니였다보니 자사 솔루션에 대한 이해와, 경쟁사에 대한 내용이 드물기에, 이를 작성하는 것이 정말 힘들었다.
중간까지는 정말 막막하였다. 이게 맞을까?, 이게 가능한 발표인가? 몇시간을 투자해도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대책이 필요하였다. RFP를 토대로 요구사항에 대한 카테고리를 5개로 나누었고, 이에 대한 모든 자료들을 정리하기로 하였다.
자사가 우위든 아니든, 일단 자사가 어떤 일을 했고, 경쟁사가 어떤일을 했는지, 닥치는대로 조원들과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취합하였다.
각 카테고리에 모든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비교하다보니 자사가 어떤사례를 가지고있고 경쟁사보다 어떤점이 우위인지, 열위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4.4 기대효과 및 추가제안 작성해보기
하나도 못적을 줄 알았는데, 조원들과 같이 힘내서 산출물을 만들 수 있었다.
4.5 PPT를 작성하여, 튜터님들 앞에서 개별로 발표한다.
각 파트별로, 역할별로 PPT작성을 나누어서, 자신이 만든 PPT를 튜터님 앞에서 발표를 한다.
스크립트를 미리 만들어주는 것을 추천해주셨는데, 상당히 도움이 많이되었다. 그리고 발표를 마치면 현업 튜터님께서 자세한 피드백을 해주시는데, 비싼 피드백을 무료로 들을 수 있고, 열정적으로 해주셔서 매우 도움이 된다.
조원들과 모두 열심히 해본 결과 우수 조에 뽑히게 되었다.
5. 결론
RFP를 기반으로 제안 PPT를 작성해보고, 실제로 현업자 분들 앞에서 발표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경험이였다. 공학적인 것, 정량적인 것 위주로 작성해보았던 과거와 달리, 조원 분들이 산공, 경영 등 다양한 전공이 존재하였기에 도움을 받아 좀 더 논리적으로, 가시적으로 작성해볼 수 있었다.
이를 듣기 위해 KTAIVLE을 신청하였으며 내용은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비교적 쉬웠던 Step 1과는 달리, Step 2부터는 내용이 어려웠지만, 내가 어떤 것이 현재 문제이고 어떤 점을 개선해나가야하고, 제스쳐, 말의 높낮이 등 어떤 점이 고객사를 설득할 방법인지 알아볼 수 있었다.
'활동 > KTAIV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AIVLE] 빅프로젝트 그리고 에이블스쿨을 마치며 (0) | 2023.07.20 |
---|---|
[KTAIVLE] 빅프로젝트 중간 과정 정리 (0) | 2023.06.27 |
[KTAIVLE] 미니프로젝트 5차 진행 (1) | 2023.04.25 |
[KTAIVLE] 미니 프로젝트 3차 진행 (0) | 2023.03.20 |
[KTAIVLE] 미니프로젝트 2차 진행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