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DataBase (3)
박가방

스토리지(Storage) :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 스토리지 종류 : DAS, NAS, SAN 1. DAS(Direct Access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 일반 가정의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이 해당 ①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하고 ②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간단. ③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으며 파일을 공유할 수 없음. ④ 확장성 및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⑤ 저장 데이터가 적고 공유가 필요 없는 환경에 적합 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1. 데이터 모델의 정의 -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 데이터, 데이터의 관계, 데이터의 의미 및 일관성, 제약 조건 등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들의 모임 -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는 과정, 즉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에서, 데이터 구조(schema)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능적 도구 1.1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 개체, 속성, 관계 1.2 데이터 모델 종류 : 개념적 데이터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 물리적 데이터 모델 1.3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 : 구조, 연산, 제약조건 1.1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개체(Entity) :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1. 데이터 베이스 설계 : 1.1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 2.1 1.2 이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에 맞게 변형 후 -2.2, 2.3, 2.4 1.3 특정 DBMS 데이터 베이스를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함 - 2.5 2 .데이터 베이스 설계 순서 2.1 요구조건 분석 :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2.2 개념적 설계 :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 - R 모델링 2.3 논리적 설계 : 목표한 DBMS 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2.4 물리적 설계 : 목표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의 변환 2.5 구현 : 목표한 DBMS의 DDL(Data Definition Language)로 DB 생성, 트랜잭션 작성 2.1 요구조건 분석 -..